“아이 키우면서 일도 계속할 수 있을까?”
이런 고민을 하는 맞벌이 부부에게 2025년은 반가운 소식이 많은 해입니다.
특히 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사후 지급 폐지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 개편 중 하나인데요.
오늘은 바뀐 제도를 중심으로 육아휴직에 대해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.
✔️ 무엇이 달라졌나요?
- 육아휴직 급여 최대 250만 원 인상
- 기존 ‘사후 지급’ 방식 → 전액 월별 지급
기존에는 육아휴직 중 첫 3개월은 전액 월급의 80%가 지급되지만, 이후에는 일부만 지급되었고 절반은 사후에 지급되는 구조였어요. 하지만 이제는 매달 전액 지급됩니다.
📌 육아휴직 급여 개편 전후 비교
구분 | 기존 제도 | 2025년 개정 이후 |
---|---|---|
지급 방식 | 일부 선지급 + 일부 사후지급 | 전액 매달 지급 |
지급액 | 월 150만 원 수준 | 월 최대 250만 원 |
📂 신청 조건
- 고용보험 가입자
- 육아휴직 시작 180일 이전까지 180일 이상 근무
- 만 8세(또는 초등학교 2학년) 이하 자녀 양육
🧾 신청 방법
- 사업장에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
- 고용센터 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
📢 공식 링크
자주 묻는 질문 (F&Q)
- Q1. 급여는 세전인가요?
- A. 육아휴직 급여는 과세 대상이지만, 대부분 비과세 처리되며 연말정산 시 확인이 필요합니다.
- Q2. 자영업자도 신청할 수 있나요?
- A. 고용보험에 가입된 경우 자영업자도 육아휴직 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Q3. 250만 원 전액 다 받을 수 있나요?
- A. 월 통상임금의 80%, 상한 25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. 급여가 낮은 경우 실제 수령액은 적을 수 있습니다.
2025년 개정으로 육아휴직은 한층 더 실용적인 제도가 되었습니다.
아직 신청을 망설이고 있다면,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
'2025 정부지원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확대! 맞벌이 부부를 위한 제도 변화는? (1) | 2025.04.17 |
---|---|
퇴직 후에도 월 150만 원? 2025년 중장년 경력 지원제 100% 활용법 (1) | 2025.04.17 |
2025년 실업급여 제도 이렇게 바뀝니다 – 반복수급자 관리부터 구직활동 기준까지 (2) | 2025.04.16 |
2025 정부지원제도 4편: 복지 및 생활지원 강화 (2) | 2025.04.13 |
2025 정부지원제도 3편: 근로 및 고용 지원 강화 (1) | 2025.04.12 |